2019년 10월 27일 일요일

자산 시장에서의 Ups and Downs


달도 차면 기운다. 요즘 메자닌/사모펀드 이슈를 보면서 드는 생각이다.
주기적으로 자본 시장에서 나오는 Ups and Downs.
수익률 쫓아서 유동성 낮은 자산및 초고위험 자산에 투자하면서 문제가 불거지는 반복적인 상황.

- 메자닌/사모펀드 (2019년)
2018년 주가는 박스권에 갇혀 있고, 채권 금리는 낮은 상황에서 주식과 채권의 중간 성격을 띠고 있는 ‘메자닌’에 투자하는 메자닌펀드가 대안 투자처로 각광을 받았다. 2015년 사모펀드 제도 개편후 12조원 규모로 급성장, 2018년 다시 1년만에 23조원 규모로 성장하고 2019년 6월까지 32조원으로 급성장하였다.
항상 그렇듯이 이러한 급격한 쏠림 뒤에는 양털깎이 행사가 벌어진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주기적인 이 행사에 참여 당하지 않으려면 고조되는 시장에서 욕심을 조금만 줄이고 기회 손실에 대해서 좀 너그러워지는 마음을 가져야...이게 말처럼 쉽지 않으니 매번 행사에 참여 당하겠지.
여기 우리의 편리한 망각 때문에 종종 잊어버리는 몇몇 사건들을 다시금 적어본다

- 라임 자산운용 (2019년 3분기)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19101310891

- DLF (2019년 3분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910821.html

- H20 Fund (2019년 2분기)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56326622551568&mediaCodeNo=257
- 오일 DLS (2016년)
http://m.news.zum.com/articles/24533592
- 브라질 국채 (2015년, 2018년)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18102185681
여기에 중국, 베트남...너무 길어진다.
이래서 어느 정도 자본이 모일때까지는 착실하고 안전하게 모아서 어느정도 자산이 형성되어가면서 balance를 맞춰가면서 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공부/경험을 하는것이 좋다고들 많은 앞서간 투자자들이 말씀 하셨구나.

댓글 없음:

댓글 쓰기